
The magic lamp of travel, ‘Gloam’ project
Gloam은 한국을 방문하거나 거주하는 다문화 여행객 특히 중동 지역 여행객을 위한 K-Beauty & Wellness 플랫폼입니다. 문화적 배려와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사용자를 위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뷰티·웰니스 예약 경험을 제공합니다. 빠르게 성장하는 MENA 관광 시장의 문화적 격차를 해소하고, K-관광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Client
Services
Industry
Date
The Magic Lamp of Travel, Right in Your Hand.
Discover curated K-Beauty & Wellness experiences designed for diverse travelers.
1. Overview
MENA(중동・북아프리카) 여행객은 K-관광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K-관광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는 MENA(중동・북아프리카) 여성 여행객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한국 방문객은 전년 대비 22% 증가, 해외여행 지출 규모는 2025년 약 81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하지만 아시아 주요 관광지에 비해 한국은 여전히 문화적 접근성과 서비스 인프라가 부족하여, 이들이 뷰티나 웰니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불편함을 겪고 있습니다. 따라서 Gloam은 “중동 혹은 다문화 여행객이 한국에서도 안심하고 로컬 경험을 즐길 수 있는 프리미엄 큐레이션 플랫폼”을 목표로 개발되었습니다.

2. Research & Discovery
정량적 리서치 - 68명의 중동 여성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
응답자의 88.2%가 TikTok, 47.1%가 Instagram을 주요 정보 채널로 사용하며, 숏폼 영상 기반 플랫폼이 여행 정보 탐색의 주요 경로로 자리잡았습니다. 그러나 SNS나 콘텐츠로 접한 정보가 현지 경험으로는 이어지지 못했다는 응답이 나타났습니다. 단순 관광보다는 문화적 배려와 프라이비시가 보장된 뷰티・웰니스 경험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는 프라이빗 공간 + 문화적 다양성 존중 + K-Beauty의 결합이 새로운 기회 영역임을 나타냅니다.
정성적 리서치 - 현지 문화권 사용자와의 인터뷰
현지 문화권 사용자와의 직접 대화 및 인터뷰를 통해, 실제 경험상의 불편과 니즈를 탐색했습니다. 사우디 현지 행사 및 한국 체류 중인 MENA 여행자와의 대화를 통해 다음과 같은 주요 페인포인트와 인사이트를 도출했습니다.
1. 예약 및 접근성의 어려움 → 현지 번호 인증 및 언어 장벽으로 인해 서비스 접근이 제한적
2. 종교, 문화적 제약 속에서도 즐길 수 있는 공간 탐색 욕구 → 비알코올, 여성 전용 공간 등 문화적으로 배려된 경험에 대한 수요 확인
3. 정보의 파편화와 신뢰도 문제 → SNS 기반 정보는 많지만 검증된 정보와 큐레이션 서비스의 부재
4. 한국 로컬 문화에 대한 진정한 관심 → 단순 관광이 아닌 현지 문화와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경험 욕구

3. Problem Definition
다문화권 여행객들은 한국에서 프라이빗 서비스 및 문화적 배려 부족으로 불편함을 겪습니다.
프라이빗 공간 부재와 다문화 및 여성 전용 서비스 부족
언어 장벽 및 신뢰할 수 있는 정보 부재
불특정 다수와 동행 비율이 높아 가족 관광 한계
SNS 콘텐츠(틱톡, 인스타그램 등) 소비는 활발하지만, 실제 예약으로 이어지는 전환율이 낮음


“중동 혹은 다문화 여행객이 한국에서도 안심하고 로컬 경험을 즐길 수 있는 프리미엄 큐레이션 플랫폼"
4. Design Goals
User Goals
・ 외국인 사용자도 한국 전화번호 없이 이메일, 소셜 로그인으로 가입 가능
・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인증된” 서비스 큐레이션 및 예약 기능
・ 프라이빗 공간 중심의 K-beauty & Wellness 프리미엄 경험 제공
Business Goals
・ 예약 수수료 기반 중개 수익 모델 구축
・ 프로모션, 광고 슬롯 운영
・ 향후 멤버십 서비스 등 확장 수익 모델 준비

5. UX Process (1)
Wireframing
사용자 여정과 관리 흐름을 함께 고려한 구조 설계를 진행했습니다. 와이어프레임을 통해 서비스 구조를 시각화하고, 개발팀과의 협업을 위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했습니다.

5. UX Process (2)
Prototyping
프로토타입을 확인해보세요!


















